20일 아침 7시.
겨울 그리고 아직 해도 뜨지 않은 추운 아침, 철도교통관제센터 앞은 경찰과 형사들로 북적였고 주황색 경고 테이프로 경계가 그어졌다.
20일은 김황식 총리의 방문이 예정되어 있었고, 철도공사노조는 'KTX민영화 반대'를 위해 그 자리에 집회신고를 해두었다.
철도공사노조는 총리에게서 철도교통관제센터를 이처럼 예고없이 방문하는 이유를 듣고 싶다고 말했다. 합법적으로 집회신고를 내고 총리를 기다렸다.
▲ 아직 해도 안뜬 시각, 경찰과 형사들로 붐비는 건물 앞 ©서울의소리 | |
그러나 철도공사노조와 김황식 총리의 면담은 성사되지 못했다.
예상진로의 반대방향에서 총리를 태운 차들이 7시50분 경 철도교통관제센터 앞에 진입하여 그야말로 번개같이 안으로 치고 들어갔다.
그 뱡향은 아파트 단지 방향으로 단지 입구는 평소 폐쇄되어있는 상태. 그러나 총리라는 특수성으로 이 날만 임시로 아파트 측에서 개방해준 것으로 보인다.
이 과정은 마치 첩보 영화의 한장면을 방불케했다.
이미 현장에는 경찰 5개중대 이상의 인력이 배치되었고 노조측은 그저 멍하니 바라볼 수 밖에 없었다.
국토부 민영화 수순에 힘을 실어주기 위한 것?관제권이 없으면 민영화되어도 안정적 열차운행이 불가능 언론에는 철도관계자 격려를 위한 것이라는 기사가 났지만, 철도관계자들은 이 날 총리의 갑작스러운 방문을 '코레일 관제권을 국토부에 이양할 것을 설득할 목적'으로 했다고 해석하고 있다.
정말 격려라면 다른 유명인들처럼 서울역이나 각 역사에서 다수의 승객과 철도종사자들을 함께 만날 것이라는 것.
관제권이라는 것은 철도차량의 운행을 집중제어․통제․감시하는 업무를 말하며, 철도관제센터에서는 우리나라 열차의 모든 운행 및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관리하는 철도시스템의 뇌와 같은 부분이다.
현재 국토부는 코레일이 가지고 있는 '철도관제센터'를 가져가기위해 법률개정을 하겠다고 선언한 상태이며, 국토부가 철도관제선터를 가져올 경우 관제권을 가짐과 동시에 철도관제센터를 민영화하거나 매각할 수 있는 권리를 갖는다.
철도관계자에 의하면 관제권은 열차의 스케쥴과 배치, 운행 등에 대한 전체적인 권한이기 때문에 이 관제권이 없으면 열차가 민영화되어도 그 민영화된 업체가 안정적 운영을 하기 어렵다고 한다.
때문에 MB정부가 원하는 방식의 재벌, 외국회사 등에 매각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절차라는 것.
그러나 철도교통관제 센터는 우리나라의 철도교통의 두뇌와도 같은 곳이기에 민간이나 외국에 넘어갈 경우 안보 등에 상당한 위협과 저항이 예상된다. 예전 KT가 민영화될 당시도 관제센터는 핵심부분이니 당장 외주를 주거나 팔지 않을거라는 예상이 있었다. 그러나 그 예상과 달리 가장 먼저 정직원들을 자르고 외주인력으로 채워 KT 직원들을 경악하게 만든 사례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