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윤재식 기자] 윤석열 정부의 대일외교를 비판하며 부산대학교 교수와 연구자들이 대규모 시국선언을 발표한지 하루 만에 중앙대학교 교수 113명도 같은 취지의 성명서를 발표했다.
중앙대 교수들은 13일 ‘인권과 헌법의 가치를 수호하고자 뜻을 모은 중앙대학교 교수’ 명의로 발표한 성명서를 통해 강제동원 ‘제3자 변제 해법과 한일 정상회담 등에 대해 ’최악의 외교참사‘이자 ’대법원 판결을 무시한 반인권적 반헌법적 행위‘라며 즉각적인 철회와 굴욕 외교 책임자 즉각 파면을 촉구했다.
이들은 “윤 정부가 내놓은 강제동원 해법은 일본의 군국주의 침략 자체를 망각의 늪에 던지려는 조치라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다”며 “피해자들이 오랫동안 용기 있게 투쟁해 쟁취한 권리를 짓밟는 반인권적 행위다. 일본 가해 기업의 배상 책임을 명시한 대법원의 확정판결을 무시했다는 점에서 삼권분립 원칙을 위반한 반헌법적 폭거다”고 비판했다.
이어 “우리도 인류 보편의 가치에 입각해 이웃 나라 일본과 협력하며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한다는 대의에 동의한다”면서도 “그것은 일본이 과거 군국주의 침략의 잔재를 청산하고 평화와 인권이라는 보편적 가치를 진정성 있게 실천할 때 일이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지금이라도 윤석열 정부는 ‘사죄 없이 동냥처럼 주는 돈은 받지 않겠다’는 피해 당사자들의 피맺힌 외침에 귀 기울여야 한다”며 “일본의 전쟁범죄에 면죄부를 주고 피해자의 인권을 무시한 반인도적, 반헌법적 강제 동원 해법을 즉각 폐기하고, 대일 굴욕 외교 당사자들에게 엄중한 책임을 물을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소리 높였다.
아울러 교수들은 굴욕 외교를 바로잡는 합당한 조치가 있을 때까지 정부에 대한 불복종운동을 전개할 것이라고 예고하며 평화와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행동할 것이라고 결의했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한편 앞서 서울대와 동국대, 고려대, 경희대, 부산대 등에서도 정부의 강제동원 해법과 대일 굴욕외교에 관한 시국선언을 하는 등 학계에서 시국선언이 줄을 잇고 있다.
특히 전날 (12일) 부산대에서 벌어진 시국선언은 현재까지 있었던 시국선언 중 가장 큰 규모로 교수와 연구진 280 명이 동참했다.
중앙대,친일외교,윤석열정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