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가 3일 윤석열과의 단일화에 합의했다고 발표한 직후, 국민의당 누리집 자유게시판과 유튜브 채널 등에는 지지자들의 항의가 빗발쳤다. 또 이미 투표권을 행사한 재외유권자들은 두 후보의 단일화로 자신의 표가 “무효표가 됐다”고 허탈해하며, 재외국민들의 투표권 보장을 위해 투표 뒤 후보 사퇴를 제한하는 일명 ‘안철수법’을 제정해야 한다는 국민청원을 올라기도 했다.
안과 윤의 단일화 소식이 전해진 직후, 국민의당 누리집은 당원·지지자들이 몰려들면서 접속이 불가능한 상황이 됐다. 이날 오후 3시께 국민의당 자유게시판에는 단일화와 관련해 200개에 가까운 게시글이 올라왔다. 전날 하루 동안 올라온 게시글(40여개)에 5배 수준이었다.
|
국민의당 누리집 자유게시판에는 갑작스럽게 이뤄진 단일화를 비판하는 목소리가 다수를 이뤘다.
“가족 모두 국민의당 당원”이라고 밝힌 장소연씨는 이날 국민의당 누리집 자유게시판에 “이번만은 완주하실 줄 알았다. 국회에서 다짐했던 그 용기는 어디로 갔냐”며 “이 순간부터 안철수에 대한 지지를 철회한다. 저뿐 아니라 가족 모두 지지를 철회한다”고 적었다.
마경석씨도 “거대 정당을 견제하고 기득권 세력의 이익에 반해 실리를 추구하는 다당제라는 (안철수) 소신에 존경을 담아 지지했다. 그러나 오늘 단일화 소식을 듣고 모든 게 무너졌다”며 “많은 지지자가 안철수의 결정에 배신감을 느꼈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또 다른 지지자 김유효씨는 “안철수를 외치며 장애가 있는 아픈 몸을 이끌고 추운 날 유세 현장까지 가서 힘을 보탠 것이 허망한 오늘”이라고 했다.
탈당 및 후원금 반환을 문의하는 글들도 이어졌다. 김도환씨는 “실망감과 화가 나서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르겠다”며 “탈당을 신청한다”고 밝혔다. 박성진씨는 “(안철수의) 바라보는 세상과 신념, 생각을 지지했다. 하지만 후보가 다른 길을 선택했으니, 지지자들도 다른 선택을 해도 된다고 본다”며 탈당하겠다고 했다.
안철수 유튜브 채널에도 비슷한 비판이 이어졌다. 안철수가 단일화 결정을 발표하는 기자회견이 업로드된 영상에도 안철수를 비판하는 댓글이 이날 오후까지 9000개 가까이 달렸다.
|
지난 23~28일 전세계 115개국 219개 투표소에서 재외국민투표에 참여한 유권자들도 자신의 표가 “무효표가 됐다”며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이날 청와대 국민청원게시판에는 재외국민들의 투표권 보장을 위해 재외국민 투표 종료 이후 후보 사퇴를 제한하는후보 사퇴를 이른바 ‘안철수법’을 제정해달라는 청원이 올라오기도 했다.
작성자는 “투표를 다 끝낸 후 후보 사퇴로 인한 강제 무효표 처리는 그 표를 던진 국민들에 대한 모독이다. 재외국민 투표자들의 진정한 투표권 보장을 위해서라도 후보 사퇴 기한을 재외국민 투표자 투표 이전으로 제한하는 ‘안철수법’을 제정해달라”고 요구했다.
안철수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