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전체기사

정치

경제

사회

국제

사설·칼럼

만평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독재시절 언론통제 부활?,,,朴정권, '언론담당협력관 신설'
새정치 “정부의 권력을 이용한 로비수단…제 2의 ‘보도지침’ 우려”
서울의소리 2015.03.21 [20:54] 본문듣기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국민소통실이 최근 언론사 간부 출신을 채용해 언론인 대면 접촉과 보도 협조 요청을 위한 창구로 활용하는 가칭 ‘언론담당협력관’ 직제를 만들고 있는 것으로 확인돼 논란이 예상된다.

 

박근혜 정권은 신설되는 언론담당협력관에 신문, 방송, 인터넷 언론 등을 전담하는 언론인 간부 출신 협력관 3명과 지원 인력들을 배치할 예정이다.

 

이들 언론담당협력관은 언론사 편집·보도국과 기자들을 수시로 만나 보도가 예상되는 정책 현안에 대해 미리 설명하고 협조를 요청하는 것이 주된 업무로 알려졌다. 또 홍보 전문가도 채용 대상에 포함 된 것으로 알려졌다.

▲  이완구 총리가 청문회 당시 파문을 일으켰던 ‘언론 외압’ 논란 내용(사진출처-KBS 뉴스영상 캡쳐)

 

한겨레 보도에 따르면, 국민소통실은 언론담당협력관 직제 신설에 대해 김종덕 문체부 장관에게 직보하면서 극비리에 추진 중이며 "청와대 인사개입설, 기관장 낙하산 논란, 인사 난맥상이 잇따라 대서특필되고 박근혜의 '불통' 이미지가 확산된 것이 직접적 계기가 됐다는 게 문체부 관계자의 전언"이라고 전했다.

 

국민소통실 핵심 인사는  “업무에 매인 공무원들이 언론사 입장을 교감하며 소통하기 어려운 현실을 고려해 종교계 인사들을 종무관으로 영입해온 관행처럼 언론을 아는 전직 언론인들을 정책소통에 활용해보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언론학계에선 이번 협력관제 신설에 대해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go발뉴스’에 따르면 성공회대 김서중 교수는  “정부라는 곳에서 홍보 위해 특별히 홍보 전문가를 둘 필요가 있는지 의문”이라며 “정책을 알릴 필요성은 있지만 (홍보 보다는) 정책을 정확하게 잘 알려주는 것이 중요하고 이후 보도는 언론들이 판단에서 기사화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필요한 정보를 언론에 제공하면 알아서 할 것”이라며 “이번 언론담당협력관 신설은 정부에 유리한 기사가 나오게 하려는 의도를 갖고 언론사들과 관계를 맺으려는 것으로 해석할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특히 김 교수는 “언론사 간부들과 만나서 실질적으로 무엇을 할 수 있겠느냐”며 “언론 입장에서 보면 불필한 일이고, 보도를 잘 해주길 바란다 정부의 말 자체가 압력으로 느껴질 수 도 있다”고 우려했다.

 

또 “압력이 되던 야합이 되던 정부와 언론의 유착관계가 만들어 질 수 있는 통로가 될 수 있다”며 “정부와 이에 잘 보이려는 언론의 상호 이익을 추구하며 수용자인 국민의 이익보다는 그들만 거래가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새정치 “정부의 권력을 이용한 로비수단…제 2의 ‘보도지침’ 우려”

 

새정치민주연합도 “정부가 독재정권 시절의 언론 통제를 부활하려는 게 아니라면 홍보협력관제 신설을 전면 재검토할 것을 강력 촉구한다”고 강하게 반발했다.

 

새정치연합 김성수 대변인은 20일 국회 브리핑에서 “정부는 보도가 예상되는 정책 현안에 대해 미리 설명하고 협조를 구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하지만, 언론사에 대한 회유나 압박 로비수단으로 악용될 공산이 매우 크다”며 “우리는 1980년대 군사정권의 언론통제 첨병 노릇을 했던 문화공보부 홍보조정실의 악행을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논란이 일자 문체부는 “금번 조직개편은 평창올림픽의 성공적 개최와 국민 소통 강화 차원에서 이루어진 것”이라 해명했다.

 

문체부는 해명자료에서 “홍보협력관 등의 직위에 대해 언론사 로비 전담조직 신설이나 언론사 압박·회유 악용될 우려 등 표현은 현실과는 전혀 맞지 않는 것이라 판단된다”며 “문체부는 언론을 정부에 대한 건강한 감시자이자 비판자로서 존중한다”라고 말했다. 

댓글

i

댓글 수정 및 삭제는 PC버전에서만 가능합니다.
광고
광고

실시간 기사

URL 복사
x

홈앱추가 PC버전 맨위로 갱신

Copyright 서울의소리. All rights reserved. 전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