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전체기사

정치

경제

사회

국제

사설·칼럼

만평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언딘' 독점 때문 자원봉사 잠수사 수백명 돌려보내...
언딘 김윤상 대표 '해양구조협회 부총재'직도 맡아
서울의소리 2014.04.28 [02:36] 본문듣기
세월호 선사인 청해진해운과 계약을 맺고 수색 작업을 주도하고 있는 민간 업체 ‘언딘 마린 인더스트리’(언딘) 때문에 구조·수색에 자원하고 나선 민간 잠수사들이 대거 투입되지 못했다는 폭로가 나오고 있다.


특히 세월호 실종자 구조작업을 맡고 있는 언딘의 김윤상 대표이사는 최상환 해양경찰청 경비안전국장, 김용환 전 남해지방해양경찰청장과 함께 해양구조협회 부총재직을 맡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논란을 더욱 부추기고 있다.

자원봉사 민간잠수사들은 "언딘과 계약된 민간 잠수사만 수색작업을 펼치고 있다"며 언딘이 수색작업을 독점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겨레 보도에 따르면 27일 전남 목포에서 산업잠수 업체를 운영하는 김종철(47)씨는  “지난 23일 지인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락이 왔다. 언딘에서 후카(표면공기공급 방식. 속칭 머구리) 잠수사들을 찾고 있으니 관심이 있으면 지원하라더라”고 말했다.


김씨는 민간 잠수사 투입을 둘러싼 논란이 증폭되는 동안 ‘밥만 축내고 있다는 자괴감’을 느끼면서도 투입을 기다리며 현장에 있었다고 했다.

사고 당일인 16일 진도 팽목항으로 달려간 김씨는 실제 수색에 투입되지 못하고 팽목항에서 대기하던 상태였다. 그런데 나중에 업체 쪽에서 인력을 구하고 나섰다는 말을 들었다는 것이다.

김씨는 “18일부터 동료들과 함께 매일 해군 고속단정에 장비를 싣고, 그 장비를 다시 군함과 바지선 등에 옮겨 싣고, 다시 고속단정에 옮긴 뒤 사고 해역을 한 바퀴 돌았다. 그때마다 마지막 순간에 해경은 우리를 다시 팽목항으로 돌아가라고 했다. 정말 허탈했다”고 말했다.

이런 상황이 민간 영역의 구조 작업을 ‘독점’한 언딘과 관련 있다고 생각하는 김씨는 “모멸감이 들었지만 실종자 가족들의 애타는 마음을 생각하며 참았다”고 말했다.

그는 “전국에서 모인 순수 자원봉사 다이버가 최소한 300명은 넘었는데 그 사람들을 이런 식으로 거의 다 돌려보냈다. 수색작업을 독점하고 싶었던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씨는 이후 문화재청 소속 탐사선에 탑승해 25일 하루에만 3차례에 걸쳐 45m가 넘는 수심에서 선체 내부에 가이드라인(안전줄) 설치 작업을 했다. 하지만 기상 악화와 강해진 조류 속에서 이들은 26일 현장에서 결국 다시 철수했다.


김씨는 “업체 소속이든 아니든 초반에 잠수사들을 최대한 투입했어야 했다. 장비 싣고 왔다 갔다 하게만 만들면서 일을 다 그르쳤다”고 말했다.

황대영(61) 한국수중환경협회장도 “신원을 밝힐 순 없지만 내가 아는 민간 다이버 3~4명이 언딘에 고용돼 현장에 투입되고 있다. 충분한 인력이 없는데도 사고 현장의 수색 작업을 독점하려는 언딘의 욕심과, 잠수사들을 손쉽게 통제하려는 해경의 이해가 맞아떨어지면서 이런 상황이 벌어졌다”고 말했다.



범정부 사고대책본부의 말을 들어보면, 실제 수색 작업에 투입되는 언딘 소속 ‘머구리 잠수사’들은 14명이다. 충분한 인력도 확보하지 못한 채 수색작업을 독점하고 있다는 주장에 대해 언딘 관계자는 “언론과 상대하고 싶지 않다”며 해명을 거부했다.


현장의 민간 잠수사들은 참여를 만류하는 해경 등과 마찰을 빚어왔고, 현장에 있는 민간 잠수사들이 해경한테서 무시하는 발언을 들었다며 23일 대거 철수하는 일도 일어났다.

이 소식을 접한 네티즌은 "이들의 탐욕과 이기심으로 인해 구조시작 초기에 소중한 이틀을 허비했다. 언론과 상대하고 싶지 않다고? 국민이 알고 싶어한다. 당장 언딘을 수사하라! 비리독점커넥션이 밝혀지면 전부 감방으로 보내야 한다!"며 분개해했다. 


세월호 관련기사

댓글

i

댓글 수정 및 삭제는 PC버전에서만 가능합니다.
광고
광고

실시간 기사

URL 복사
x

홈앱추가 PC버전 맨위로 갱신

Copyright 서울의소리. All rights reserved. 전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