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찰이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의 내란 혐의를 수사하며 자택을 압수수색하는 과정에서 거액의 현금을 발견했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파장이 일고 있다.
김종혁 전 국민의힘 최고위원은 4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나와 “(윤석열 정권) 실세 집에서 이런 돈다발이 나왔다면 이건 정말 충격적인 얘기”라고 말했다.
이 전 장관은 경찰 압수수색 당시 발견된 돈다발을 놓고 이날 '팩트뉴스'에 "상식적 수준의 체면 유지비"라고 주장했다. 그는 "경조사비나 식당 팁 등 현금성 수요가 일정 부분 있기 때문에 이른바 '체면 유지비' 수준의 상식적 현금과 비상금 몇백 정도를 갖고 있던 걸 '돈뭉치'라고 표현하는 건 문제"라며 "지방에 체류하던 날 압수수색이 들이닥쳐 (당시) 집에 있던 금고도 다 열려 있었다. 빈집에 수억 원을 보관한다는 것은 말이 안 되는 이야기"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앞서 지난 3일 JTBC와 KBS 보도에 따르면 경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단은 지난 2월 이 전 장관 자택을 압수수색하면서 5만원권 뭉칫돈으로 가득 찬 에르메스 가방 등 고가의 명품 가방 8∼9점을 발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일부 가방은 상표도 안 뗀 새 상품이었다고 한다. KBS는 현금 규모가 수억원 정도로 추정된다고 보도했고, JTBC는 “놀랄 만한 액수”라고 했다. 일각에서는 32억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문제는 현금의 출처가 논란이다. 지난 3월21일 관보에 공고된 이 전 장관 재산 내역을 보면 현금 신고액이 없기 때문이다. 당시 이 전 장관은 본인 명의 예금 9억3200만원, 배우자 명의 예금 1억원을 신고했는데 모두 금융기관에 예치된 것이었다. 이 전 장관이 별도의 현금을 보유하고도 재산신고를 하지 않았다면, 공직자윤리법을 위반한 셈이 된다.
황명선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상민은 반헌법적 비상계엄 선포, 언론사 봉쇄 및 단전·단수 등 내란 모의 이행의 주요 관련자이자 내란세력의 핵심이다. 그런 인물의 자택에서 발견된 출처 불명의 현금은 단순한 비위가 아니다. 내란 자금일 가능성, 정치공작의 자금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라고 의심했다.
황 의원은 페이스북 입장에서 "그런데 당시 경찰은 현금이 압수수색 영장 범위에 포함되지 않아 현장에서 압수하지 않았고, 이상민 측은 이러한 사실 자체를 부인하고 있다"라며 "만약 신고되지 않은 수억 원의 현금이 보관됐다면, 이는 공직자윤리법 위반이자 명백한 재산 은닉"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황 의원은 "더 나아가, 이 돈이 내란 모의와 연결된 불법 자금이라면 단순한 부패가 아니라 헌정질서를 파괴하려는 반국가 범죄"라며 "신속하게 압수수색하고, 이 돈이 내란을 위한 자금인지 아니면 뇌물인지, 누구의 돈이며 왜 줬는지, 하나하나 낱낱이 밝혀야 한다. 국민주권을 뒤흔든 자들, 반드시 법 앞에 모두 세워야"라고 특검 수사를 촉구했다.
현금신고 0원 이상민..5만원권 돈뭉치’ 채운 에르메스백 8∼9점 발견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