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현직 기관사인 김영훈 씨가 고용노동부 장관으로 지명되면서 방씨조선일보의 걱정이 태산이다. 6월 25일 사설 제목부터 "민노총 장관에게 '노사 균형' 기대나 할 수 있겠나"이다. 우선 민노총 장관이란 지칭이 음험하다. 방씨조선일보가 이번 인선에서 기업인 출신으로 장관으로 지명된 사람을 기업인 장관이라서 문제 삼은 적은 없다. 검사 장관, 교수 장관 등도 마찬가지다. 유독 김 장관에게만 민노총 장관이란 딱지를 붙였다. 그들이 미친 듯이 민주노총을 악마로 불러왔으니 당황스러웠나보다. 반노동을 넘어 차별과 분열을 일상화하는 방씨조선일보가 오죽하랴. 더구나 현직 노동자가 장관이라니 하늘이 무너진 듯하리라. 게으르고 교활한 그들에게 민노총 대신 민주노총이 공식 약칭임을 밝혀둔다.
방씨조선일보는 노동부 장관은 노사 양쪽의 균형을 잡고 노사가 상생할 수 있는 방향으로 노동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해야 하는 자리란다. 노동계의 목소리를 일방적으로 대변하라는 자리가 아니란다. 사실 여부를 차치하고 역대 노동부 장관이 노사가 상생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정책을 펼쳐왔는지 돌아볼 일이다. 윤석열 내란 세력이 건설노동자를 건폭으로 몰아칠 때 노동부의 입장은 엄정 대응을 가장한 노조 탄압이었다. 방씨조선일보는 건설노동자 양회동 열사가 노동자 탄압에 죽음으로 항거했을 때조차 분신 방조와 유서 조작 의혹 등을 날조하는 비인간적 범죄 행각을 벌였다.
방씨조선일보는 기업이 강자가 아니고 노조가 강자로 바뀐 지 오래됐다며 헛소리를 늘어놓는다. 그들은 작년에 ‘12:88, 노동 시장을 바꿔야 한다’는 기획 기사를 내보냈다. 대기업 직원과 중소기업-비정규직 근로자 구도를 부각하며 전체 임금 근로자 중 12%인 대기업 정규직과 중소기업 및 비정규직 근로자 등 나머지 88%로 쪼개진 한국 노동 시장의 이중구조 민낯이라는 그럴싸한 내용이었다. 노동자 간의 갈등이 문제의 핵심인 것처럼 떠들어 대면서 뒷구멍으로 기업주들과 무슨 거래를 했을지는 짐작만 할 뿐이다. 노동자의 생존에 관련된 문제의 핵심을 흐리려는 간악한 술책이 아닐 수 없다.
![]() |
6월 27일에는 ‘‘기업주 처벌로 재해 "발본색원", 아예 공장을 없애지 그러나"라는 저렴한 제목을 사설이라고 뱉었다. 우선 신문의 얼굴이라는 사설이 갖춰야 할 기본적인 품격보다 비아냥만 남아 있음이 눈에 띈다. ‘아예 공장을 없애지, 그러나’는 그중 압권이다. 중대 재해를 없애야겠다는 다짐을 보여주려는 상징적인 어휘인 ‘발본색원’을 물고 늘어지는 방씨조선일보가 안쓰럽다. 중대재해법을 한사코 막아서는 방씨조선일보의 계산은 참으로 복잡할 것이다. 기회주의적으로 자신들의 잇속만 챙기려는 짓이 그들의 유전자에 새겨져 있는 듯하다. 사람 목숨은 살리자는 명분에 딴지를 거는 세력이 언론이라니 불행한 일이다.
사설 제목 못지않게 내용도 억지로 가득하다. 원론적인 얘기를 하는 듯하지만 깐죽임을 통해 대기업에 한풀이할 장을 마련해주려는 속셈이 아닌지 의심스럽다. 마치 노동 문제를 걱정하는 척하며 그들의 시선은 광고주인 대기업에 쏠려있음이 틀림없다. 인간의 한계를 무시하고 발본색원이라며 기업주를 처벌한다면 기업 할 사람이 어디 있겠느냐는 말은 언뜻 솔깃하다. 대한민국이 OECD 국가 중 산재 사망률 1위라는 불명예를 씻기 위해 비상한 각오를 발본색원이 가능하냐며 조롱하는 태도는 언론의 금도를 한참 넘어섰다.
![]() |
6월 29일에는 ‘’노동계 몫‘ 장관 꼬리표 떼려면’이르는 김아사 씨의 기사가 떴다. 역시 방씨조선일보 종업원다운 발상이다. 노동부 장관은 노동계에서 맡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노동계 몫에 맞게 정책을 펼쳐야 한다. 노동계 몫 장관이라는 꼬리표를 떼려고 애쓸 것이 아니라 오히려 노동계를 위해 일하고 있음을 당당히 알려야 한다. 김 씨는 ‘노조 회계 공시 제도’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이 제도는 무도하고 무지한 윤석열 정권이 도입했다. 노조를 탄압하고 노사의 자율 교섭을 방해하는데 악용되었는지 살펴야 한다는 김 지명자의 인식은 너무나 당연하다. 방씨조선일보는 노동조합 회계의 투명성과 민주성은 당연하며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서도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다행히 방씨조선일보 김 기자까지 문제의 핵심을 알고 있다. 당연히 이런 원칙은 노조 뿐 아니라 사회 전반에 널리 퍼져야 한다. 당연히 방씨조선일보도 예외가 될 수 없다.
![]() |
7월 3일에는 ‘민노총 또 총파업, '민노총 장관'도 부족한가’라는 해괴한 사설을 낸다. 대체 장관과 파업이 무슨 상관이란 말인가? 아무리 방씨조선일보가 선동을 일삼는 지라시 수준에 머문다고 하더라도 앞뒤가 맞지 않는 말이다. 방씨조선일보의 속셈을 알아내는 것은 어렵지 않다. 그들은 귀족 노조 이익을 대표하는 민주노총이 탐욕과 방종의 끝을 모른다고 모질게 몰아붙인다. 노동자의 권리를 부당하게 압박하는 것을 막자는 노란봉투법도 미친개처럼 물고 늘어진다. 하청 노조가 원청 회사와 교섭할 수 있게 하여 “하청 업체만 수백 개인데 협상하다 1년 다 보낼 판”이라는 말은 그들이 부르는 노래의 단골 가사가 될 정도다.
고장 난 시계도 하루에 두 번은 맞는다는 말이 있다. 소 뒷걸음질 치다 쥐 잡는다고도 한다. 방씨조선일보가 오랜만에 바른 말을 했다. 그들이 주장하는 대로 언론의 투명성과 민주성 그리고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모든 언론사에 세무조사를 실시해야 한다. 정부와 공공기관이 보조금과 공공 광고를 위해 지출하는 혈세가 엄청난 금액에 이른다. 이에 대해 국민들에게 낱낱이 알려야 한다. 더 나아가 미디어 바우처 제도에 대해서도 도입도 바람직하다.
노동부 홈페이지에는 ‘노동의 가치가 존중받는 사회를 만들겠습니다’라는 문구가 뜬다. 노동부가 노동자의 목소리를 대변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동안 노동부가 이름에 걸맞게 노동자의 권익을 위해 일해왔는가를 돌아보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이번 기회에 고용노동부라는 말조차 노동부라는 말로 고치는 것은 어떨지 생각해보면 좋겠다. 국민주권정부라는 말에 걸맞게 국민 대다수를 차지하는 노동자들에 대한 인권과 복지를 생각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