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전체기사

정치

경제

사회

국제

사설·칼럼

만평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발언 중에 드러난 尹 개입..박대령 "정말 VIP가 맞나?", 해병대 사령관 "맞다"
박정훈 대령의 국방부 검찰단 제출 '진술서'에 담긴 최고권력자 외압
박 대령 측 "외압 증거 녹음 틀자 군 검사가 당황해 제지"
민주당 "모든 것 뒤에 윤석열 대통령과 대통령실 있었다"
군인권센터 "채상병 사건 수사, 외압 시작은 대통령실"
정현숙 2023.08.29 [13:58] 본문듣기

국방부 검찰단에 항명 혐의로 입건된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이 28일 오후 서울 용산구 국방부 검찰단에 출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채수근 상병 사망사건’ 수사와 관련해 전 해병대 수사단장 박정훈 대령이 국방부 검찰단에 제출한 진술서에 윤석열 대통령의 개입이 있었다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확인됐다.

 

29일 <오마이뉴스> 보도에 따르면, 매체가 입수한 박정훈 대령의 진술서에는 지난 7월31일 오후 박 대령과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이 나눈 대화 내용이 적시되어 있다.

 

이날 오후 3시 18분경 유재은 국방부 법무관리관이 박 대령에게 전화를 해 국방부로부터 “경찰에 이첩하는 사건서류를 보내라”, “혐의자와 혐의내용을 다 빼라, 업무상과실치사혐의 죄목을 빼라” 등의 요구를 받은 박 대령이 이후 김계환 사령관의 호출을 받고 사령관실로 올라간 자리에서 윤 대통령의 개입설이 나왔다는 것이다.

 

보도에 따르면 이 자리에서 김 사령관이 "국방부에서 경찰에 인계할 수사서류를 혐의자와 혐의내용을 빼고 수사라는 용어도 사용하지 말고 조사로 정리하라고 하는데 어떻게 하느냐?"라고 묻자 박 대령은 "그렇게 해서는 안 된다. 유족에게 이미 설명하였고, 해군참모총장, 국방부 장관에게까지 보고한 내용을 이제 와서 빼게 되면 축소수사·왜곡수사로 대단히 큰 문제가 될 것"이라고 답했다.

 

박 대령은 “도대체 국방부에서 왜 그러는 것이냐?”라고 되묻자, 김 사령관은 “이날 오전 대통령실에서 VIP(윤 대통령을 지칭) 주재 회의 도중 1사단 수사결과에 대한 언급이 있었고 VIP가 격노하면서 장관과 통화한 후 이렇게 되었다”라고 설명했다는 것이다. 박 대령이 “정말 VIP가 맞습니까?”라고 재차 묻자 김 사령관은 고개를 끄덕이며 “맞다”라고 했다는 게 박 대령의 주장이다.

 

“박 대령의 진술을 종합하면 대통령실은 7월30일 오후 해병대 수사단으로부터 언론브리핑 자료를 확보했고, 다음날 오전 열린 대통령 주재 비공개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관련 내용을 윤 대통령에게 보고한 것으로 보인다”라고 오마이뉴스는 분석했다. 

 

'군형법 상 항명' 혐의로 입건된 박정훈 대령은 28일 국방부 검찰단 소환에 응했지만, 진술거부권을 행사했다. 박 대령 측이 이번 사건과 관련한 외압의 증거로 해병대 수사단장이었던 박 대령과 변호인 등이 등장하는 녹음파일 일부를 재생했지만, 군 검사가 이를 제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령 측 김정민 변호사는 "출석해 외압의 배후를 알 수 있을 만한 녹음 파일을 틀자 군 검사가 당황해 수사가 중단됐다"라며 "군 검찰 측에서 먼저 기록을 못 하겠다는 의사를 전달하며 나갈 것을 통보했다"라고 밝혔다.

 

반면 국방부 검찰단 측은 "박 전 단장 측이 먼저 조사 불응과 진술 거부 의사를 밝히면서 갑자기 녹음 파일을 재생했고, 영상녹화실에서고 설명했다. 정식으로 조사할 것을 정중히 권하자 재생을 중단하고 복귀했다"라고 주장했다.

 

군인권센터는 같은 날 기자회견에서 "이 사건은 채 상병 사망 원인 규명을 방해하기 위해 권력자가 조직적으로 수사에 개입한 권력형 범죄"로 규정하며 “빠른 국정조사를 통해 국민들에게 이 문제를 소상하게 알리고, 여당이 국정조사를 거부하면 특검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임태훈 군인권센터 소장은 "화를 내며 국방장관에게 질책을 한 정황으로 볼 때 대통령은 사단장을 혐의대상자로 포함해 경찰로 이첩하겠다는 보고를 이때 처음 들은 것으로 추정된다"라며 "그런데 사단장을 처벌하면 안 된다는 생각을 미리 하고 있었던 것이 아니라면 사단장을 혐의대상자에 포함해 경찰로 이첩하겠다는 보고를 받자마자 격노할 까닭이 없다"라고 지적했다.

 

더불어민주당 해병대원 사망사고 진상규명 태스크포스(TF)도 기자회견에서 "지금껏 국방부가 왜 법에 명시적으로 금지된 행위를 대놓고 저질렀는지, 왜 그토록 무리한 이첩 보류를 지시했는지, 왜 수사단장에게 수차례 전화해 외압을 가했는지, 끝내 국방부의 최종 점검 결과에서 왜 사단장의 혐의가 빠지게 됐는지 이해가 된다"라며 "모든 것 뒤에 윤 대통령과 대통령실이 있었던 것"이라고 주장했다.

 

앞서 채상병 사망 사건의 진상규명을 위해 국회가 국정조사를 실시해야 한다는 내용의 국민동의청원에 5만명 이상이 동의하면서 해당 안건은 국회 소관 상임위원회 청원심사소위원회에 배당됐다.

채수근 사망 은폐 윤석열 외압 관련기사

댓글

i

댓글 수정 및 삭제는 PC버전에서만 가능합니다.
광고
광고
광고

실시간 기사

URL 복사
x

홈앱추가 PC버전 맨위로 갱신

Copyright 서울의소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