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윤재식 기자] 윤석열 정부가 불법 쿠데타로 정권을 찬탈한 군부가 집권한 미얀마의 대사를 국산 무기 홍보 행사에 불러들여 유엔(UN) 산하 인권기관으로부터 경고를 받았다.
![]() ▲ 지난 6월5일 유엔인권최고대표사무소 (OHCHR)에서 톰 앤드루스 유엔 미얀마 인권 특별보고관 명의로 한국 정부에 보낸 서한 일부 캡쳐 © www.ohchr.org |
유엔인권최고대표사무소 (OHCHR)는 8일 ‘한국 외교부가 주최한 국산 무기 홍보 행사에 초청된 외교단에 딴 신 (Thant Sin) 주한 미얀마 대사가 포함됐다는 사실에 강한 우려를 표한다'는 내용의 서한을 톰 앤드루스 유엔 미얀마 인권 특별보고관 명의로 지난 6월5일 한국 정부에 보낸 사실을 전했다.
앞서 외교부는 지난 5월10일 경기도 포천 모 육군 부대에서 미얀마를 포함한 18개국 외교단을 초청해 전투 사격 훈련 참과, 장비 전시 관람, 차량 장비 시승 등 국산 무기 판매 홍보 행사를 열었다. 당시 주최 측은 K2 전차 위에 딴 신 대사를 태워 시범을 보이는 등 적극적 홍보 활동을 한 것으로 밝혀졌다.
딴 신 대사는 지난 2019년 주한미얀마 대사로 부임했지만 2021년2월1일 민 아웅 흘라잉이 이끄는 군사반란세력이 민주적으로 선출한 미얀마 민주정부의 권력을 찬탈 한 이후에도 줄곧 대사직을 맡고 있는 인물이다.
유엔이 이번 공개한 서신에서도 “딴 신 대사가 (한국 무기 홍보) 행사에 참석한 것 자체가 불법적이고 잔혹한 미얀마 군사 정부를 정당화하는 것”이라고 이런 사실에 대한 우려를 표하며 “마치 한국 정부가 미얀마 군부에 무기를 팔 수 있다는 뜻으로 비칠 수 있어 대 미얀마 무기 이전에 대한 한국 정부의 정책 자체에 의문이 제기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한국이 미얀마 대사를 무기 홍보 행사에 부른 시점은 약 170명의 목숨을 앗아간 지난 4월 미얀마 군부의 ‘시가잉 지역’ 공습으로부터 약 한 달밖에 지나지 않았을 때”라며 “한국 정부의 이번 결정은 그간 한국이 미얀마 사태와 관련해 취한 여러 긍정적 조치에 역행한다”고 질타했다.
![]() ▲ 지난 2021년 2월 미얀마 쿠테타 이후 한국 미얀마대사관에서 일인시위 하는 미얀마 유학생 에에씨 ©이명수 기자 |
이와 관련해 해당 소식을 9일 단독 보도한 <중앙일보>는 기사를 통해 “정부는 미얀마 군부 쿠데타 직후인 2021년3월 미얀마와 군 교류를 끊고, 군용 물자의 수출을 금지하는 독자 제재를 발표했다”며 “유엔은 무기 수출을 위한 행사에서 미얀마 대사를 탱크에까지 태우는 한국이 이런 제재를 제대로 실행할 의지가 있는지 의구심을 표출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또 매체는 해당 서한 관련해 정부가 지난달 26일 ‘딴 신 대사를 초청한 건 미얀마에 무기를 주겠다는 의도가 아니었으며 전례에 따라 한국에 주재 중인 동남아국가연합 국가들을 상대로 초대장을 발송했으며 이에 미얀마 대사가 참석한 것이라는 내용의 답신을 보냈다‘면서도 “결과적으로 정부는 민주주의의 무기고로 불리는 한국의 방산을 민간인 살상을 일삼는 미얀마 군부를 상대로 버젓이 홍보한 데 이어 유엔의 경고까지 받은 격”이라고 설명했다.
![]() ▲ 윤석열 대통령이 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방혁신위원회 2차 회의에서 국기에 경례하고 있다 © 연합뉴스 |
한편 윤석열 대통령은 8일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방혁신위원회 2차 회의에서 “자유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반국가적 주장과 왜곡된 역사관을 바로잡고 장병들이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정신 전력 극대화에 힘써주기 바란다”며 장병들의 정신교육을 지시했다.
유엔,윤석열,미얀마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