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가 7일 '2023년 6월 경제전망 보고서'를 발표했는데 우리나라 성장률 전망치 하향 조정이 또 이어졌다.
![]() |
OECD는 이번 보고서에서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은 지난 3월 전망치인 1.6%보다 0.1%포인트 낮은 1.5%로 내다봤다.
OECD는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은 2.7%로, 지난 3월 전망치보다 0.1% 포인트 올렸다. 또 내년에는 세계 경제가 2.9% 성장하리라 전망하며, 기존 전망치를 유지했다.
OECD 다섯 차례 연속, IMF도 네 차례 연속 올해 우리나라 성장률 전망치 하향 조정
OECD는 지난 2021년 12월 올해 우리나라 성장률 전망치를 2.7%로 제시했다.
이후 지난해 6월 2.5%(-0.2%p), 9월 2.2%(-0.3%p), 11월 1.8%(-0.4%p), 올해 3월 1.6%(-0.2%p), 이번 1.5%(-0.1%p)까지 다섯 차례 연속으로 낮췄다.
지난해까지 악화를 지속하던 세계경제 상황이 올해 들어 호전 기미를 보이는 상황이어서 우리 경제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 '역주행'이 더 뼈아프게 다가온다.
OECD의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2021년 12월 3.2%에서 지난해 11월 2.2%로 추락했으나 올해 3월 2.6%(+0.4%p)에 이어 이번 6월 2.7%(+0.1%p)도 상승을 거듭했다.
세계은행(WB) 역시 지난 7일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2.1%로 지난 1월 전망 대비 0.4%p나 올렸다.
국제통화기금(IMF) 전망에서도 유사한 양상이 나타난다.
IMF는 올해 우리나라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해 4월 2.9%, 7월 2.1%(-0.8%p), 10월 2.0%(-0.1%p), 올해 1월 1.7%(-0.3%p), 4월 1.5%(-0.2%p)로 네 차례 연속 하향했다.
불과 1년 새 우리나라 올해 성장률 전망치가 반토막 난 셈이다.
반면, 지난해 10월 2.7%까지 떨어졌던 IMF의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지난 1월 3.1%로 0.4%p나 상승했고 4월 전망치는 0.1%p 하락했지만 3% 선을 지켰다.
내년 전망도 그리 밝지 않다.
OECD는 이번 전망에서 우리 경제가 내년에는 올해보다 높은 2.1% 성장을 이룰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나 내년 전망치 역시 석달 전과 비교하면 0.2%p 하락했다.
지난 4월 IMF 또한, 내년 우리나라 성장률 전망치를 2.4%로 1월 대비 역시 0.2%p 낮췄다.
우리 경제에 대한 국제 사회의 시선이 코로나19 사태 원년인 2020년 역성장을 최소화(-0.7%)하는 등 위기 대응이 탁월했다는 찬사를 보냈던 이전과는 사뭇 달라진 모습이다.
OECD 경제전망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