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윤재식 기자] 최근 큰 논란이 있던 김건희 7시간 녹취록 내용 중 김건희 씨의 ‘정권 잡으면 가만 안 둬’ 내용의 파장이 가시지 않은 시점에서 남편인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까지 ‘정치보복 암시’ 발언을 하며 대선을 앞둔 정계 안팎으로 논란이 되고 있다.
|
더군다나 윤 후보 장모 최은순 씨 역시 자신을 고소한 피해자들에게 “가만두지 않겠다”며 보복을 예고했던 전력이 있어 윤 후보 집권 후 이른바 ‘본·부·장 정치보복’이 실제로 행해질 것이다는 분위기가 팽배해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대선 관리 중립성을 이유로 그동안 말을 아껴오던 문재인 대통령까지 분노를 표하며 반 윤석열을 표명하자 이를 기점으로 여권에서는 친문·친노 성향이지만 이재명 후보를 지지하지 않는 반이재명 세력들과도 지지를 얻으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윤 후보 발언 후 문 대통령이 국내외 통신사들과의 인터뷰에서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를 직접적으로 언급하며 현 정치상황을 비판한 발언과 이해찬 전 대표 역시 노 전 대통령을 언급하고 있는 것들은 이런 기조에서 나오는 발언으로 볼 수 있다.
|
사실상 여권 내에서 반이재명 부동층을 움직일 수 있다고 평가 받는 이낙연 총괄선대위원장 역시 본격적으로 나서기 시작했다. 한 예로 윤 후보 발언 다음 날인 당초 10일 이 위원장의 공식 일정이 잡히지 않았지만 ‘재경전북도민회 신년인사회’ 일정이 오전 급하게 공지되기도 했다.
여권 내 한 反이재명 인사는 “윤 후보의 이번 발언에 어이가 없었다”면서 “이번 대선은 중도표를 잡아야 하는데, 중도층은 그런 걸 원하지 않는다. 국민의힘 콘크리트 지지층에서나 좋아할 발언 이었다”고 평했다. 이어 “친문 대 반문 구도는 바보짓이다. 윤 후보 측은 이를 수습해야 할 것이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反이재명 인사는 “이번 윤 후보 발언을 듣고 보복의 칼날은 이재명이 아닌 문재인 대통령에게 겨냥되어 있는 거 같았다”며 “정권이 바뀌면 문 대통령이 가장 피해를 보지 않을까 생각된다. 이재명도 싫지만 윤석열이 대통령이 돼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
한편 국민의힘 측은 윤 후보의 이번 발언은 “평소 소신대로 검찰의 정치적 중립과 법과 원칙 그리고 시스템에 따른 엄정한 수사 원칙을 강조했을 뿐이다”며 “윤 후보의 사전에는 정치보복이란 없다”고 강조했다. 오히려 문 대통령의 이번 반발이 ‘부당한 선거 개입’이며 여당에서 정치보복 프레임을 씌우려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정치보복,이재명,결집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