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윤재식 기자] 일본 정부가 ‘군함도’에 이어 일제감정기 당시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사도 광산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추천 후보로 선정한 것에 대해 다수의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
더불어민주당 의원 50명은 6일 국회 소통관에서 일본 정부의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 추진 중단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갖고 국회 의안과에 관련 결의문을 제출했다.
의원들은 기자회견문에서 ‘일본 정부가 2015년 군함도를 세계문화유산에 등재할 당시에 한국인들의 강제 노역했다는 역사적 사실을 알리겠다고 약속했으나 이를 지키지 않았다’면서 “또 다시 강제동원의 역사 현장을 문화유산으로 등재하겠다고 하는 건 참으로 후안무치한 일이 아닐 수 없다”고 분노했다.
이들은 2019년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에서 발간한 자료를 근거로 전시 기간 중 최대 1200여명의 조선인이 월급도 제대로 받지 못한 채 사도 광산에 강제 동원한 사실을 있다고 밝히며 이를 입증하는 일본 공문서도 최근 공개됐다는 사실도 전했다
.
의원들은 일본 정부가 사도 광산의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위해 군함도를 세계문화유산에 등재했을 때처럼 조신인 강제 노역기간을 제외한 센고쿠시대(1467~1590년)말부터 에도시대 (1603~1867년)으로 한정했다면서 “조선인 강제동원했다는 사실을 숨기려는 꼼수이자 명백한 역사 왜곡이다”고 주장했다.
이어 “오는 2월1일까지 아직 시간이 남아 있는 만큼 우리 정부와 국회는 일본 정부의 추천서 제출을 막는 데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면서 ▲일본정부가 2015년 7월 일본 근대산업시설의 세계문화유산 등재 결정 당시 UNESCO의 권고와 스스로 약속한 후조치를 이행할 것과 강제 노역 희생자를 기리는 조치를 취할 것 ▲이를 이행하기 전까지 사도 관산의 세계유산 등재 추진을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마지막으로 의원들은 “한일 관계가 가뜩이나 악화된 상황에서 사도광산 등재를 둘러싸고 제2의 군함도 사태가 벌어진다면 양국 관계 개선은 더욱더 멀어질 것이라는 점을 일본 정부는 명심하기 바란다”고 경고했다.
결의문 발표를 마친 의원들은 곧장 국회 의안과를 방문해 일본 정부의 사도 광산 세계문화유산 추진 중단을 위한 결의안을 제출했다.
한편 이번 결의문 제출에 참여한 더불어민주당 소속 50명의 의원은 김경만, 김남국, 김민기, 김상희, 김승원, 김영배, 김원이, 김정호, 김종민, 김주영, 노웅래, 민병덕, 민형배, 박상혁, 박성준, 박용진, 박정, 박홍근, 서삼석, 서영교, 소병철, 송옥주, 신정훈, 오영환, 윤영덕, 윤재갑, 이개호, 이병훈, 이상헌, 이수진, 이수진, 이용빈, 이용우, 이원택, 임오경, 임종성, 임호선, 장경태, 장철민, 전용기, 정일영, 정춘숙, 정필모, 주철현, 한병도, 허영, 허종식, 홍기원, 홍성국, 홍정민 의원이다.
사도광산,전용기,일본정부,군함도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