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전체기사

정치

경제

사회

국제

사설·칼럼

만평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윤석열로 돌아선 신평 "뉴스타파 기자, 정대택이 최은순 존경"..정대택 "정정안하면 고소"
'尹 처가 취재 뉴스타파 기자 "신평 만나본적도 없다"', '정대택 "변절 당위성위해 지어낸 말일 수도"', '신평 "기자 이름 알려줄 수 없다"'
윤재식 기자 2021.12.14 [16:32] 본문듣기

[국회=윤재식 기자] 지난 19대 대선 당시 민주당 중앙선대위 위원장을 역임했던 신평 변호사가 온갖 부정적 의혹에 휩싸여 있는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후보 장모 최은순 씨와 18년간의 소송을 해온 정대택 씨가 장모 최 씨에 대한 존경심을 잃지 않고 있다는 엉뚱한 발언을 해 당사자인 정 씨가 반발하고 있다.

 

▲ 신평 변호사와 정대택 씨가 지난 2019.4 대학로 드림아트센터 '법원을 법정에 세우다' 공연 당시 찍은 사진     © 정대택 제공

 

신 변호사는 지난 13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자신은 윤 후보에 대해 비판적이었다라고 운을 뗀 후 작년 11월 인사동 어느 음식점에서 윤 후보와 그의 처가에 대하여 집요하게 추적해온 뉴스타파의 기자와 저녁식사를 하며 아마 세 시간 넘게 브리핑을 받은 적이 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그 기자가 마지막에 윤의 장모와 끈질긴 소송을 해온 정 모 씨가 이상하게도 윤의 장모에 대해 여전히 존경심을 잃지는 않았다면서 내가 취재해온 바와 합쳐서 생각하면, 윤의 처가에 대해 계속 파고들어도 별 것이 나오지는 않을 듯하다라는 기자의 말을 전했다.

 

▲ 윤석열 장모 최은순 사기피해자인 정대택 씨가 14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자신이 최은순에 대한 존경심을 잃지 않았다고 언급한 신평 변호사에게 사과와 정정을 요구했다.     ©정대택 페이스북 갈무리

 

이에 해당 글에 언급된 당사자인 정대택 씨는 14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글을 올리고 이를 반박했다.

 

정 씨는 신평씨 내가 기사의 정씨 정대택이오라면서 “2019.4 대학로 드림아트센터 법원을 법정에 세우다공연과 백범 김구 기념관에서 귀하를 응원했던 분들을 배신하는 군요라고 꼬집었다. 계속해 정 씨는 신 변호사가 언급한 뉴스타파 기자와의 인터뷰 내용이 왜곡 돼있다며 이달 중 정정보도 신청하고 사과하라고 촉구했다.

 

정 씨는 기자와의 통화에서 윤 후보 처가에 대해 취재를 담당하며 자신과 인터뷰를 했던 뉴스타파 기자는 심 모 기자 밖에 없다면서 심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자신은 그런 말을 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정 씨는 문재인 지지자였던 신 변호사가 최근 윤석열 지지자로 돌아서면서 이와 관련한 당위성을 찾기 위해 지어낸 말일 수도 있다고 추정했으며 자신의 페이스북에 언급 한 것처럼 신 변호사가 이달 중 관련 내용에 대해 정정보도 신청하고 사과하지 않으면 소송도 검토하겠다고 경고했다.

 

정 씨와 인터뷰를 했다던 심 기자와도 연락이 닿았다. 심 기자 역시 정 씨가 언급했던 것처럼 자신이 뉴스타파에서는 윤 후보 처가를 담당했던 기자가 맞다고 인정했지만, 신 변호사와는 친분관계도 없고 만난 적도 없다며 자신은 해당 글에 나온 뉴스타파 기자가 아니라고 확인시켜주었다.

 

이와 관련해 글 작성자인 신 변호사는 기자와의 통화에서 “(관련) 기자 이름은 말할 수 없다. 글에도 밝혔지만 말 안하는 게 좋을 거 같다고 말하며 해당 기자 이름을 밝히는 것을 회피했다.

 

특히 문제의 발단이 된 정대택 씨가 장모 최은순에게 존경심을 잃지 않았다라는 말을 뉴스타파 기자가 했나하는 질문에 그는 내가 쓸 때 없는 말 할 이유도 없고라고 강조하며 본인 글이 모두 사실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신 변호사는 지난 7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현 정부 출범의 기여자이기도 한 자신이 윤 후보를 지지하게 된 이유에 대해 조국 법무부 장관후보자 사퇴를 계기로 현 정부의 무능과 위선을 자각했으며 그런 반성에서 다른 대안세력에 대한 필요성을 느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신평,정대택,뉴스타파 관련기사

댓글

i

댓글 수정 및 삭제는 PC버전에서만 가능합니다.
광고
광고
광고

실시간 기사

URL 복사
x

홈앱추가 PC버전 맨위로 갱신

Copyright 서울의소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