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은 2일 '신보수주의' '뉴라이트' 등을 지향점으로 내세운 혁신선언문을 발표했다. 혁신위는 논란이 됐던 박근혜 출당과 친박계 청산에 대해선 언급을 하지 않았다.
그러나 뉴라이트-일베 류석춘의 혁신위답게 "한국당 신보수주의는 자유민주주의 이념에 기초한 1948년 건국이 옳고 정의로운 선택이었다는 '긍정적 역사관'을 가진다"고 밝혀, 친일 독재 미화 뉴라이트 주장을 전면 수용했다.
|
보도에 따르면 류석춘 혁신위는 이날 오전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지난 10년간 한나라당, 새누리당을 이은 현재의 자유한국당은 집권여당으로서 국리민복과 국가발전을 위해 당이 추구해야할 가치와 역할을 망각했다”며 “한국당의 무사안일주의와 정치적 타락은 자유민주진영의 분열을 초래하면서 공천실패, 대통령 탄핵, 대선패배라는 쓰라린 결과로 이어졌다”고 진단했다.
혁신위는 이어 "한국당은 철저한 혁신을 통해 분열된 보수우파 세력을 통합하고 자유민주 진영의 단합된 지지를 얻어 정권을 재창출하고 자유민주 통일을 이룩할 과제를 안고 있다"면서 "이를 위해 혁신위는 '자유한국당 신보수주의' 가치의 깃발을 높이 든다"고 '신보수주의'를 주창했다.
혁신위는 더 나아가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는 국민주권의 원리가 '대의제 민주주의'를 통해 실현돼야 한다고 믿는다"며 "광장 민주주의와 같은 직접 민주주의의 위험을 막고 다수의 폭정에 따른 개인 자유의 침해를 방지하며, 시민적 덕성의 함양을 통해 더불어 사는 공화의 가치를 실현하는 제도적 장치"라고 말해, 촛불 민심에 대한 거부반응을 드러내기도 했다.
혁신위는 포함 여부를 놓고 논란이 됐던 '서민중심경제'과 관련해선 "신보수주의는 부정부패와 반칙, 특권을 배격하고 공정한 경쟁을 보장하는 법치주의에 기초해 경제적 자유를 추구한다"면서 "경쟁에서 뒤처진 사람들도 함께 꿈을 이룰 수 있는 국가공동체를 만들기 위해 '서민중심경제'를 지향한다"고 밝혔다.
이옥남 대변인은 부연 설명을 통해 “박근혜의 탄핵은 보수정당의 위기를 가져온 주요 원인이지만 탄핵의 정당성이나 헌법재판소 결과 수용 여부는 혁신위의 인적혁신과 별개 문제로, 향후 회의과정을 통해 논의가 될 것으로 본다”고 해명했다. 한국당은 이 혁신 선언문이 "혁신의 당위성, 방향 및 철학 등을 담은"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뉴라이트 세력이 주도해 온 '건국절 논란'과 같은 맥락에 있는 "1948년 건국"을 거듭 강조한 부분, 탄핵 사태의 동력이 된 촛불집회를 "광장 민주주의와 같은 직접민주주의의 위험"으로 묘사한 부분, 홍준표가 대선후보 시절 집요하게 제기한 "강성귀족노조" 주장을 되풀이한 부분은 혁신의 방향성에 대해 의문을 갖게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광장 민주주의"를 비판한 대목과 관련, 한국당이 여전히 탄핵의 정당성을 인정하지 않고 있는 게 아니냐는 의심이 나왔다. 탄핵에 대한 태도는 향후 혁신의 방향성과 진정성, "인적 혁신" 작업의 강도와 기준을 가르는 잣대가 될 것으로 평가받아 왔다.
류석춘은 지난달 11일 취임 기자회견에서 탄핵에 대해 "박근혜가 실제로 저지른 잘못보다 너무 과한 정치적 보복을 당한 것"이라고 주장해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
류석춘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