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민의 가슴을 피멍들인 잔혹한 세월호 참사.
사건발생 한달이 다 되어가지만 여전히 배와 수십명의 피해자는 차가운 바다속에 잠겨있다.
정부의 부정확한 집계로 정확한 탑승자수는 아직도 미궁이다.
다만 실종-사망자가 300여명이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
이 사건의 초기, 영남대 최호선 교수는 자신의 SNS 게시글을 통해 지금은 유족이 된 실종자 가족들에게 미안한 마음과 함께 잔혹한 예언을 했다.
최호선 교수는 '철저히 보상받으라'며 '유족은 정부와 선박측 보험사라는 프로들을 상대하는 지난한 싸움을 앞두고 있다' 라며 철저히 준비하시라는 당부를 했다.
실제로 정부는 세월호 유족들에 대해 절대 호의적이지만은 않았다.
온 미디어가 그들을 비추고 있음에도 정부는 그들과의 만남에 적극적이지 않았고, 심지어 아이들의 영정사진으로 가득한 안산 빈소에서마저 대통령 조문쇼를 벌이는 등 인간적 예의조차 보기 힘들었다.
최호선 교수는 '혹시 자신에게 묻는다면' 이라는 전제를 깔고
'개별적인 장례와 발인을 멈추라'고 조언하겠다고 말했다.
이 부분또한 매우 현실적인 지적이다.
세월호 피해 부모들이 '내 자식이 언제 어떻게 죽었는지' 알기위해 부검신청을 해도 '정부는 부검요청을 받겠으나 부검시설은 없다' 라고 하여 유족을 분노케 했다.
유족들은 익사가 아닌 질식사, 저체온증이 사망 원인이라면, 구조가 빨랐으면 살았을 것이라며 정부 책임을 강하게 묻고 싶겠지만, 정부는 그 책임을 지고 싶어하지 않을 확율이 높다.
이론적으로 사고 2-3일간 에어포켓이 있어 아이들이 살아있을 수 있다며 희망고문을 하면서도 정작 '살아있다' 라는 sns 내용에는 무조건 허위라며 경끼를 하던 것이 정부와 친정부 미디어였다.
잔혹한 예언......
그 잔혹한 예언이 유족에게는 곧 눈앞에 닥칠 현실적 경고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