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전체기사

정치

경제

사회

국제

사설·칼럼

만평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바보조일[바로보는 조선일보] - 69. 사실이 아니라고 판결난 내용을 ‘논란’이라며 제목을 다는 조선일보
이득우 조선일보 폐간 시민실천단 단장/언소주 정책위원 2025.02.19 [04:36] 본문듣기

▲ 출처=조선일보  © 서울의소리


2월 16일 일본 제국주의 전쟁 범죄 피해자인 ‘일본군 위안부’ 길원옥 할머니께서 한 많은 삶을 마감하셨다. 조선일보 홈페이지 부고 기사 제목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길원옥 할머니 별세, 생존자 7명’이다. 다른 신문 제목과 대체로 일치하는 것을 보니 여성가족부 자료를 받은 듯하다. 종이 신문에서는 조선일보만의 놀라운 실력을 발휘했다. ‘윤미향 ’치매 기부‘ 논란 길원옥 할머니 별세’. 사실 아님이 판결난 내용을 ‘논란’이라며 제목을 다는 집단을 언론이라 해야 할까? 가짜뉴스를 자체 제작, 판매하는 족벌 기업 조선일보 노석조 종업원의 작품이다. 많은 언론 종사자들의 명예를 존중하려 그에게 기자라는 말은 붙이지 않겠다. 

 

우선 홈페이지에서 부고 기사를 사회면 대신 정치면에 분류한 점이 눈에 띈다. 조선일보가 일본의 전쟁 범죄를 고발하려는 뜻은 아니리라. 노 씨가 길원옥 할머니의 별세를 제대로 알리려는 의지가 있는지를 의심할 대목이 수두룩하다. 노 씨 기사에서 길 할머니 생애에 대한 내용은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 빈소나 발인 일시 등의 기초 정보도 없다. 참으로 해괴하기 이를 데 없어 두고두고 반면교사로 남을 걸작이다. 

 

기사에는 길 할머니에 대한 내용은 향년을 제외하곤 단 한 줄도 없다.

 

5단 기사에서 앞뒤 두 단은 여성가족부 발표를 주로 인용했다. 다음 두 단에서는 윤미향 전 의원과 관련된 내용을 너저분하게 펼쳐놓았다. 넉살 좋게도 윤 전 의원이 길 할머니 관련 혐의에 대해선 무죄 확정판결을 받았다고 쓰고 있다. 용맹한 노 씨가 면피용 수작을 부린 것은 아니리라. 문득 최근 삼성 이재용의 무죄와 관련해 검찰 비난에 앞장서던 조선일보가 떠오른다. 검사에겐 무죄가 죄이지만 노 씨에겐 그조차 여전히 받아쓰기 좋은 먹이라는 말일까? 부고 기사는 고인의 생애 소개가 핵심이리라. 하지만 노 씨가 쓴 기사에는 길 할머니에 대한 내용은 향년을 제외하곤 단 한 줄도 없다. 

 

조선일보를 대신해 독자를 위해 길 할머니의 약력을 소개한다. 할머니는 1928년 평북 희천에서 태어나서 13세에 일본군에 강제로 끌려가 만주의 일본군 위안소에서 끔찍한 성노예 생활을 하셨다. 해방 후 귀국해 위안부 피해자로 신고하고 정의기억연대가 마련한 위안부 피해자 쉼터에서 생활하셨다. 김복동 할머니와 단짝으로 ‘수요시위’ 등을 통해 일본군의 간악무도한 전쟁 범죄를 전 세계에 알리는 일에 앞장서 오셨다. 할머니는 또한 ‘길원옥의 평화’라는 음반을 발표하셨다. 2018년에 김숨 작가가 ‘군인이 천사가 되기를 바란 적 있는가’라는 길원옥 할머니의 증언집 소설을 내기도 했다. 

 

먼 길 떠나시는 길 할머니가 ‘치매 기부’를 하셨다고?  

 

노석조 종업원이 전하는 부고에는 길 할머니보다 윤미향 전 의원에 대한 언급이 더 많다. 윤전 의원 관련 논란의 피해자로 길 할머니께서 거론되기도 했다고 썼다. 노 씨는 길 할머니께서 ‘치매 기부’를 하셨다고 쓰는 것이 먼 길 떠나시는 길 할머니께 모욕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은 해봤을까? 노 씨는 기사에서도 할머니가 중증 치매를 앓고 있었다고 친절하게 떠벌인다. 자신이 이루려는 야심이나 증오를 위해서는 고인의 명예 따위는 중요한 일이 아닌 듯하다. 대법원에서 무죄로 판결이 난 사건에 대한 관련 금액을 굳이 숫자로 밝히는 노 씨의 노력은 차라리 안쓰럽다.

 

‘위안부’의 존재 자체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일본 정부의 흉계에 편승하는 반민족 매국 세력들이 공공연히 활개치는 현실이다. 얼마 전에는 위안부가 ‘자발적 매춘’이라고 발언한 교수가 무죄 판결을 받는 배반의 시대를 살고 있다. 조선일보가 반민족 범죄집단이라는 사실은 움직일 수 없는 사실이다. 반인륜 전쟁 범죄를 저질러 뼈아픈 고통을 안긴 일본 제국주의자들에게 아부를 일삼고 단 한 차례도 반성하지 않기 때문이다. 

 

피해 할머니에 대한 내용은 묻어버리고 초점은 전혀 다르게 비틀어

 

이런 조선일보이기에 일본 제국주의의 전쟁 범죄 피해자에 대한 기사가 달가울 리 없다. 그래도 뉴스를 함부로 빼먹으면 역풍이 일 것에 찜찜했으리라. 마지못해 생각해 낸 방법이 노 종업원의 구토 유발 걸작품이다. 정작 써야 할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에 대한 내용은 묻어버리고 초점을 전혀 다르게 비틀어버리는 꼼수다. 이런 못된 수작은 윤석열의 내란 사태에대한 조선일보의 보도 방식에서도 고스란히 드러나고 있다. 공공연히 내란을 위협하며 헌재를 헐뜯는 집단이 조선일보다. 

 

“내가 일본 정부에 요구하는 것은 배가 고파 밥을 달라고 하는 게 아니에요, 옷을 입혀 달라고 하는 것도 아닙니다. 내가 일본 정부에 요구하는 것은 역사의 진실을 솔직히 인정하라는 것이고, 그 진실을 기반으로 해서 공식 사죄, 법적 배상하라는 것이지 돈을 바라는 게 아닙니다” 길 할머니의 피 맺힌 절규다. 길원옥 할머니는 일제 침략자와 그들에 부화뇌동하는 자에게 작은 행복조차 무참히 앗겼다. 부디 저승에서는 평안을 누리시길 빈다. 그분 명예를 찾아드림도 살아있는 자의 몫이다. 

 

그리하여 다시 조선일보는 폐간만이 답이다.  

댓글

i

댓글 수정 및 삭제는 PC버전에서만 가능합니다.
광고
광고

실시간 기사

URL 복사
x

홈앱추가 PC버전 맨위로 갱신

Copyright 서울의소리. All rights reserved. 전송